전체 글(79)
-
42 SEOUL, 라 피씬 후기 -2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37-20, 강남역 5번출구에서 뛰어서 5분, 걸어서 15분거리 처음갔는데 건물 화장실도 깨끗하고 냄새도 안나고 좋았다. 외관도 깨끗함 그리고 일단 개포가 아니라 서초라 제일 좋았던 점인데, 맛있는 곳이 많다. 물론 먹을 곳은 많은데 진짜 맛있는데는 테헤란로 쪽 가야지 좀 더 많음 .. ㅠ 야아악간 애매함 위치가 클러스터 클러스터에 도착한 순서대로 클러스터를 채우고 설명을 듣는다. 4기는 총 600명의 지원자가 1차 2차로 300명씩 나뉘고 또 여기서 1그룹과 2그룹으로 150명씩 나뉜다. 나는 1그룹이라 월 수 금 토를 출석하게 되었으며, 2그룹은 화 목 금 일을 출석했다. 금요일은 시험이라 1그룹과 2그룹이 겹치게 되며, 주말 역시 러쉬라고 불리는 팀 과제를 하며 짜..
2021.07.16 -
42 SEOUL, 라 피씬 후기 -1
42 서울이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서 시행하는 정부 지원 SW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프랑스의 에꼴42의 교육 프로그램을 차용해 한국에 적용함. 근데 42가 머임 ?_? 지독한 컨셉,, 지원금도 42분,,, 외부에서 오는 행사 제외한 자체 행사는 거의 42분에 시작한다. 9시 42분,, 11시 42분,,,, 4시 42분,,,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라는 영화에서 Deepthought라는 귀여운 컴퓨터가 750만 년 동안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절대적인 답을 구했는데 그게 42다. 그냥 다른 거 없이 42다. 나였으면 망치로 컴퓨터 부셨는데 그건 세돌이도 마찬가지 아니냐? 아무튼 영화 안 좋아하는데 나름 재밌었음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을 알아내는 데는 750만 년 걸..
2021.07.16 -
42CURSUS) push_swap (입, 출력)-2
Option '+', '-', ' ', 숫자를 제외한 모든 입력값은 Error를 반환. Main() 먼저 스택을 만들어야 하는데, exit() 구조 상 함수 중간중간에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일이 잦고, 따라서 Memory Leaks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 그래서 main에서 각 스택의 뚜껑과 바닥, 스택들의 크기, 명령어들이 들어갈 문자열 포인터가 들어있는 stack 구조체를 스택 메모리에 생성해주고, 해당 구조체를 가리키는 구조체 포인터 변수를 하나 생성했다. t_stack_stack; t_stack*stack; stack = &_stack; 이렇게 하면 프로그램과 동시에 해당 프로그램이 가지고있던 stack memory는 모든 값을 pop하고 종료. exit() 함수에서도 문제없이 해제를 할 수가 있..
2021.07.16 -
42CURSUS) push_swap (과제 정리)-1
What Push Swap push swap은 껨이당. a, b 두 개의 스택을 가지고 시작하며, a에는 중복되지 않는 양 || 음수를 담고 b는 비워둔다. 목표는 a스택에 오름차순(작은 수부터 큰 수로)으로 정렬하는 것이다. 게임은 아래의 동작들로 수행됨 sa : a의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 교체(값이 하나거나 없으면 동작하지 않음) sb : b의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 교체(값이 하나거나 없으면 동작하지 않음) ss : sa & sb pa : b의 가장 앞의 요소를 a에 push 해줌.(b가 없으면 동작 X) pb : a의 가장 앞의 요소를 b에 push 해줌.(a가 없으면 동작 X) ra : a의 모든 요소를 1만큼 앞으로 이동 시키고, 맨 위의 값을 맨 뒤로 넘긴다. rb : b의 모든 요..
2021.07.15 -
42 CURSUS / Born 2 be root (가상 머신 설치) -2
클러스터의 맥에 "가상머신" 설치하기 이거 어차피 볼 사람들은 42서울 하는 사람일 텐데, 알다시피 클러스터 맥에는 아무거나 못 깐다. 그래서 가끔씩 팝업으로 빡치게 하는 managed software control을 통해 설치해줘야 하는데, 평소에는 갑자기 뜨면서 필요할 때는 알아서 안 떠주기 때문에 불러와야 한다. 일단 오라클(자바, 오라클 db)이 개발 중인 버츄얼 박스는 리눅스, OS X(맥), 솔라리스, 윈도우 등등을 게스트 운영체제로 가상화하는 소프트웨어인데 이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가상으로 운영체제 속에서 운영체제를 운영할 수 있게 해 준다. 다른 가상 머신에 비해 기능은 적은 편이지만,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 iSCSI(IP 기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 RDP를 통한 USB ..
2021.07.06 -
42 CURSUS / Born 2 be root (과제 정리) -1
Mandantory Virtual box나 UTM이라는 가상 머신에 운영체재를 설치해야 하며, 최신 안정화 버전의 Centos OS 또는 Debian OS를 사용한다. (처음이면 데비안 추천한다함) Centos는 복잡하기 때문에 KDump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SELinux와 AppArmor for Debian는 필수이다. LVM을 이용해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만들어야 하며, 파티션은 다음과 같이 기대된다. 평가 도중 선택한 운영체제에 대해 질문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관리툴인 apt와 aptitude의 차이점이라던가 SELinux나 AppArmor이란 무엇인가 등에 대한.(쓰는 운영 체제에 대해 이해해라) SSH 서비스의 포트는 4242이며, 보안상의 이유로 root폴더에 ss..
2021.07.05 -
42 CURSUS / ft_printf_04 (Flow chart)
이전 플로우 차트에서 파싱을 통해 플래그와 전체 너비, 정밀도, 캐스팅 타입의 크기, 타입을 담은 구조체 opt가 만들어졌다면 해당 구조체와 지금까지 출력한 문자열의 길이인 len을 인자로 받아온 후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함수로 보낸다. c, s, %의 경우는 옵션이 간단하기에 flag에서 '-'플래그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를 통해 공백을 넣어주거나 정밀도만큼 문자열을 출력한다. number의 경우는 위 문자, 문자열에 비해 다양한 옵션을 가지고 있어 복잡해지는데, 기본적으로 플래그, 정밀도의 조합에 따라 꽤 많은 예외가 발생하게 되어 잘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value가 0일 경우) 기본적으로 정밀도가 수의 길이보다 작다면 무시되고 수의 길이보다 크다면 그 만큼 0이 출력된다. 그 앞에 +,..
2021.07.05 -
42 CURSUS / ft_printf_03 (Flow chart)
일단 지금까지 나온거 플로우 차트로 그려보았음 화살표라던가 컨벤션이 있을테지만 아직 제대로 쓸 줄을 모름 libft.h는 libft의 함수를 담고, 아카이빙을 먼저 함. printf는 printf의 함수 및 libft.h를 import하여 ft_printf.h를 include하는 *.c 파일에서 libft를 사용할 수 있게 함. 메이크파일은 먼저 $(MAKE) -C 명령어를 이용해 libft.a를 만든 후 cp 명령어로 이름을 libftprintf.a로 바꾸고 ar -rcs 옵션을 통해 ft_printf의 새로운 오브젝트들을 추가해줌. 함수는 while문을 이용해 고정 인자를 돌며 '%'를 만나면 ft_check_obj 함수에 va_list와 str + 1의 포인터, 그리고 최종 문자열의 길이를 담을 l..
2021.06.21